본문 바로가기

정치·경제

대구시, 국군부대 후적지 개발 청사진 공개..."미래 100년 신성장 동력으로"

"3.71㎢ 규모 도심 속 미니신도시 탄생"...2030년 이전 완료 후 개발 착수
2031년부터 본격 조성...총 1조 9천억 원 경제효과 기대

대구시, 국군부대 후적지
대구시, 국군부대 후적지 위치도. ⓒ대구시제공

 

대구광역시가 도심 내 4개 국군부대 후적지 3.71㎢를 의료, 금융, 교육, 첨단산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지로 개발하는 '국군부대 후적지 개발구상'을 5일 발표했다. 제2작전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 방공포병학교/제1미사일여단, 제50보병사단의 통합 이전지가 군위군으로 확정됨에 따라 2030년까지 군부대 이전을 완료하고 2031년부터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조감도(방공포병학교 제1미사일여단)
조감도(방공포병학교 제1미사일여단) ⓒ대구시제공
조감도(제2작전사령부)
조감도(제2작전사령부) ⓒ대구시제공
조감도(제5군수지원사령부)
조감도(제5군수지원사령부)ⓒ대구시제공
조감도(제50보병사단)
조감도(제50보병사단) ⓒ대구시제공

 

대구시는 각 부대 후적지별로 입지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개발 계획을 수립했다. 수성구 만촌동에 위치한 제2작전사령부 부지(1.27㎢)는 경북대학교병원과 연계한 '세계적 수준의 종합의료클러스터'로 조성된다. 의료기업과 연구소를 집적화해 의료산업 거점으로 육성하고 의료관광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제5군수지원사령부 부지(0.75㎢)는 K-2 공항 후적지와 연계한 '국제금융 도심복합타운'으로 개발된다. 수성알파시티와 연계해 금융기관 및 핀테크 기업을 유치하고, UAM 버티포트를 도입해 신교통 중심지로 조성한다.

부대명 면적 개발 방향 주요 개발 내용
제2작전사령부 1.27㎢ 의료 클러스터 종합의료클러스터, 경북대병원 연계
제5군수지원사령부 0.75㎢ 국제금융 복합타운 금융기관 유치, UAM 버티포트
방공포병학교/제1미사일여단 0.64㎢ 글로벌 에듀파크 글로벌 명문대 캠퍼스, 자율형 사립고
제50보병사단 1.05㎢ 첨단산업 단지 항공물류, 드론제조, 헬스케어 산업

 

방공포병학교와 제1미사일여단 부지(0.64㎢)는 '글로벌 에듀파크'로 개발된다. 외국 교육기관 및 글로벌 명문대 캠퍼스를 유치하고,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를 설립해 지역 인재 유출을 방지하고 교육 명품 도시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제50보병사단 부지(1.05㎢)는 대구경북신공항과 연계한 첨단산업단지로 조성된다. 항공물류, 드론제조 분야를 특화 육성하고, 인근 칠곡경북대학교병원과 연계한 시니어타운과 헬스케어 산업단지도 함께 개발한다.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대구 도심에 위치한 군부대 이전으로 확보되는 대규모 후적지는 대구미래 100년을 이끌어 갈 신성장동력으로 개발해 나갈 것"이라며 "대구광역시가 대한민국을 넘어 글로벌 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국군부대 후적지 개발이 실현되면 경제적 파급효과 1조 9,529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8,238억 원, 취업 유발효과 13,407명으로 예상된다. 또한 도심 균형 발전과 국방력 강화를 동시에 도모하는 '민군 상생' 모델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시는 오는 9월 후적지 개발 계획에 대한 시민 설명회와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시민 의견을 수렴해 최종 개발 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로 더 나은 대구를 만들어갑니다.
지역의 다양한 소식을 알려주세요!

이메일: ijlm119@gmail.com
카카오톡: @데일리대구
사이트: 데일리대구 바로가기